9~10월, ‘지속가능한 디자인 생활 실천’ 주제 서울새활용플라자 프로그램 진행
9월 14일, DDP서 제로웨이스트 패션쇼 ‘댕댕 런웨이’ ‘닮은 꼴 콘테스트-댕댕스타’ 개최
9~10월, 서울새활용플라자 1층서 ‘섬유의 시간: 업사이클링으로 미래를 만들다’ 특별전
9월 말부터 장난감 자원순환사업 ‘나눔히어로’ 확대 운영…세대 간 소통과 자원순환 가치 전해

서울디자인재단(대표이사 차강희, 이하 재단)이 운영하는 서울새활용플라자(성동구 용답동)가 시민의 일상 속에 ‘새활용(업사이클링)’을 녹여낸다. 9월부터 두 달간 ‘지속가능한 디자인 생활 실천’을 주제로 패션·전시·자원순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제로웨이스트 패션쇼 ‘댕댕이와 함께 하는 슬기로운 새활용 생활’

오는 9월 14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반려견과 함께하는 제로웨이스트 패션쇼 ‘댕댕 런웨이’가 열린다. 100팀의 반려견과 반려인이 더 이상 입지 않는 옷과 새활용 소재로 제작된 창의적인 의상을 입고 런웨이를 걸으며 지속가능한 패션의 무한한 가능성을 선보인다.

이날 무대에 오를 옷은 지난 7월부터 8월까지 ‘2025 제로웨이스트 솔버톤’에 참여한 대학생과 특성화고 학생의 손끝에서 태어났다. 차세대 디자이너의 환경 의식과 창의성이 어우러진 옷을 선보인다.

같은 날, 반려 가족의 패션·포즈·표정 등에서 닮은 점을 겨루는 ‘닮은 꼴 콘테스트- 댕댕스타’와 반려견과 함께 DDP 주변 관광지를 돌아보는 댕댕이 트레킹, 댕요가, 댕BTI, 펫스널 컬러, 건강검진 등 다양한 부대행사도 열린다. 닮은꼴 콘테스트 참가를 희망하는 시민은 8월 31일까지 서울새활용플라자 누리집(링크)에서 신청할 수 있다.

'댕댕런웨이' 포스터. /제공=서울디자인재단
'댕댕런웨이' 포스터. /제공=서울디자인재단

폐자재, 전통 직조 기술 만나다…서울새활용플라자×숙명여대 ‘업사이클링 특별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서울새활용플라자 1층 새활용하우스에서는 쓰임을 다한 재료와 전통 직조 기술이 만나 탄생한 예술 작품이 전시된다. 서울새활용플라자가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과 함께 기획한 ‘섬유의 시간: 업사이클링으로 미래를 만들다’ 특별전이 열린다.

금기숙, 김태연, 김지용 등 참여 작가들은 삶과 자연, 환경을 성찰하고, 폐기된 재료를 활용해 ‘짜고, 잇고, 표현하고, 축적하는’ 전통 직조 방식을 확장했다. 작업 과정 속에서 환경과 예술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전시작 일부는 서울새활용플라자 소재은행에서 제공한 폐자재를 활용했다. 다양한 폐자재가 가치 있는 예술 작품으로 재탄생한 과정을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섬유의 시간: 업사이클링으로 미래를 만들다' 특별전 포스터. /제공=서울디자인재단
'섬유의 시간: 업사이클링으로 미래를 만들다' 특별전 포스터. /제공=서울디자인재단

할머니 손에서 장난감 재탄생, ‘나눔히어로 확대 운영… 새활용 가치 널리 알릴 것

9월 말부터는 장난감 자원순환사업 ‘해치와 나눔히어로’를 한층 확대해 운영한다. 시니어 인턴십 과정을 더해 어르신들이 직접 수리·세척한 헌 장난감을 어린이에게 전하고 놀이 문화와 함께 어르신들의 경험과 지혜를 나눈다.

‘나눔히어로’ 사업의 확장은 지난 4월 서울시50플러스재단, 코끼리공장과 맺은 업무협약을 바탕으로 추진된다. 세 기관은 이 모델이 세대 간 소통과 자원순환, 사회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구현할 것으로 기대한다.

지난 4월, 서울디자인재단과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등이 서울새활용플라자 미디어실에서 ‘서울형 세대이음 자원순환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진행했다. 세 기관은 협약을 매개로 ▲서울형 장난감 수거 및 순환 체계 구축 ▲서울시 시니어 일자리 창출 ▲서울시 아동돌봄 콘텐츠 확산 등을 위해 협력한다. /제공=서울디자인재단
지난 4월, 서울디자인재단과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등이 서울새활용플라자 미디어실에서 ‘서울형 세대이음 자원순환을 위한 업무 협약식’을 진행했다. 세 기관은 협약을 매개로 ▲서울형 장난감 수거 및 순환 체계 구축 ▲서울시 시니어 일자리 창출 ▲서울시 아동돌봄 콘텐츠 확산 등을 위해 협력한다. /제공=서울디자인재단

한편, 2017년 개관한 서울새활용플라자는 국내 최초·최대의 업사이클링 전문 디자인문화 거점이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약 48톤 이상의 새활용 소재를 거래했다. 이는 축구장 8.43개 면적에 해당하며, 휘발유 차량으로 서울~부산을 157.8회 왕복할 때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줄인 효과와 맞먹는다.

서울디자인재단 차강희 대표이사는 “올 가을 서울새활용플라자 프로그램으로 ‘새활용’이 단순한 환경보호 활동에 그치는 것이 아닌, 창의적 문화 콘텐츠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라며, “시민에게 새활용의 가치를 더 널리 알리고, 새활용을 문화·산업 전반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셜임팩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